
데이터 전달 방법1. Constructor를 통한 데이터 전달가장 간단한 방법은 새로운 화면의 Constructor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이다. 먼저 스크린을 2개로 나눈다.하나는 first_screen.dart 스크린이고, 다른 하나는 second_screen.dart 스크린이다. 베이스 코드는 Navigator 포스트에 대한 코드를 베이스로 한다. https://codejunh-develop.tistory.com/111 NavigatorFlutter에서는 Navigator 위젯을 사용하여 화면 간 전환을 구현할 수 있다. Navigator란?Flutter에서 Navigator는 앱의 화면 간 이동을 관리하는 위젯이다.Navigator는 stack 구조로 되어 있어, 새로운 화면을 pushcodejun..

Flutter에서는 Navigator 위젯을 사용하여 화면 간 전환을 구현할 수 있다. Navigator란?Flutter에서 Navigator는 앱의 화면 간 이동을 관리하는 위젯이다.Navigator는 stack 구조로 되어 있어, 새로운 화면을 push하면 stack에 쌓이고, pop하면 stack에서 제거된다.이를 통해 사용자는 앱 내에서 화면 간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화면 생성lib 폴더 안에 screen 폴더를 생성하고, 그 안에 first_screen.dart와 second_screen.dart 파일을 생성한다.각 파일에는 아래와 같이 간단한 위젯 트리를 작성한다.first_screen.dart 파일의 코드second_screen.dart 파일의 코드 Navigator 활용하기이제..

Flutter에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범위 내의 값을 입력받아야 할 때 Slider 위젯을 사용할 수 있다.Slider를 사용하면 터치나 드래그를 통해 연속적인 값을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Slider 기본 사용법Slider 위젯을 사용하려면 StatefulWidget에서 선언해주어야 한다. 왜냐하면 슬라이드를 하면 특정 범위 내의 값들이 매순간 바뀌기 때문이다.Slider 위젯을 사용할 때, min, max, value 속성은 필수로 지정해야 한다.코드 설명: _currentValue 변수를 선언하고 초기값을 0으로 설정한다.이 변수는 슬라이더의 현재 값을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value 속성은 슬라이더의 현재 값을 지정한다._currentValue 변수의 값..

Flutter는 모바일 앱 개발을 위한 구글의 오픈소스 UI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이다. Flutter의 핵심 특징 중 하나는 선언적 UI(Declarative UI) 패러다임을 채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UI를 구성할 때, 명령적(Imperative) 방식이 아닌 선언적 방식을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언적 UI에서는 UI의 현재 상태를 선언하고, Flutter 프레임워크가 이를 기반으로 UI를 렌더링한다.이는 전통적인 명령형 UI 방식과는 다르다.명령형 UI에서는 UI를 단계별로 구성하고, 각 단계에서 UI의 변경사항을 명시적으로 지시한다. Flutter에서 위젯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보통 변수명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생성자를 호출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한다.이는 Flutter의 선언적 ..

Route와 NavigatorRoute는 Flutter 앱에서 화면을 나타내는 객체이다.각 Route는 해당 화면의 위젯 트리를 빌드하는 역할을 한다.Navigator는 Route들을 관리하고 화면 간 이동을 제어하는 위젯이다.Navigator는 Route들을 Stack 자료구조로 관리한다. Stack은 Last-In-First-Out(LIFO) 방식으로 동작하며, 가장 최근에 추가된 Route가 가장 먼저 제거된다. Stack 기본 개념하얀색 상자가 Stack이다. 1이 당연히 제일 먼저 들어온다.1이 들어오고서 2가 들어왔는데 1 위에 쌓였다.그 다음에 3, 4도 이미지처럼 계속 쌓였다. 무언가 하나 빼야지 라고 하면, 가장 위에 있었던 5번 데이터가 빠진다.그거를 Pop이라고 한다. 데이터를 넣어..

split() 메서드란?split() 메서드는 Dart의 문자열(String) 클래스에 속한 메서드 중 하나이다.이 메서드는 문자열을 지정된 구분자 또는 패턴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부분 문자열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반환한다. split() 메서드는 문자열에 직접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문자열 뒤에 .split()을 붙이고, 괄호 안에 분할 기준이 되는 패턴을 전달한다.이 패턴은 정규식(RegExp) 또는 문자열(String) 형태로 지정할 수 있다. (,)쉼표를 기준으로 분할하기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쉼표(,)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분할하여 리스트로 반환 할 수 있다:실행 결과: [apple, banana, candy]위 코드에서는 문자열 'apple,banana,candy'에 바로 split 메..

Flutter에서 UI를 구성할 때 위젯의 정렬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이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위젯 중 하나가 바로 Align 위젯이다. Align 위젯이란?Align 위젯은 자식 위젯의 정렬을 지정하는 데 사용되는 단일 자식 위젯이다.Align을 사용하면 부모 위젯 내에서 자식 위젯의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Align의 주요 속성은 다음과 같습니다:alignment: 자식 위젯의 정렬 위치를 지정한다. (기본값: Alignment.center)widthFactor, heightFactor: 부모의 크기에 대한 자식 위젯의 크기 비율을 지정한다. (기본값: null) Align 위젯 사용 예시실행 결과: 위 코드에서는 빨간색 Container 안에 FlutterLogo 위젯을 Align을..

Constraint란?Constraint 제약이라는 것이다.어떤 제약이냐면 Widget의 위치와 사이즈와 크기에 대한 제약이다.Constraint는 간단히 말해 위젯이 차지할 수 있는 최소 및 최대 너비와 높이를 정의하는 규칙이다.부모 위젯은 자식 위젯에게 이러한 Constraint를 전달하고, 자식 위젯은 이 Constraint 내에서 자신의 크기를 결정한다.Constraint는 위젯의 크기와 위치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모든 Flutter 위젯은 자신의 크기와 위치를 결정할 때 부모 위젯으로부터 Constraint를 받는다(내부 코드적으로).Constraint는 위젯이 가질 수 있는 최소/최대 너비와 높이를 지정하는 일종의 "규칙"이라고 볼 수 있다. Constraint에는 다음과 같은 4..

CupertinoDatePicker란?CupertinoDatePicker는 Flutter의 Cupertino 위젯 세트의 일부로, iOS의 네이티브 날짜 선택기와 유사한 모양과 동작을 제공한다. 이 위젯은 사용자가 스크롤 휠을 사용하여 날짜, 시간, 또는 둘 다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Material 스타일을 다루는 DatePicker는 showDatePicker가 있다.이 블로그에서는 CupertinoDatePicker로 다루겠다. 주요 특징다양한 모드: 날짜만, 시간만, 또는 날짜와 시간을 함께 선택할 수 있는 모드를 제공한다.사용자 정의 가능: 초기 날짜, 최소/최대 날짜, 간격, 배경색 등을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반응형: 사용자의 선택에 즉시 반응하여 선택된 값을 업데이트한다.iOS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