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lutter에서는 Navigator 위젯을 사용하여 화면 간 전환을 구현할 수 있다. Navigator란?Flutter에서 Navigator는 앱의 화면 간 이동을 관리하는 위젯이다.Navigator는 stack 구조로 되어 있어, 새로운 화면을 push하면 stack에 쌓이고, pop하면 stack에서 제거된다.이를 통해 사용자는 앱 내에서 화면 간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화면 생성lib 폴더 안에 screen 폴더를 생성하고, 그 안에 first_screen.dart와 second_screen.dart 파일을 생성한다.각 파일에는 아래와 같이 간단한 위젯 트리를 작성한다.first_screen.dart 파일의 코드second_screen.dart 파일의 코드 Navigator 활용하기이제..

Flutter에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범위 내의 값을 입력받아야 할 때 Slider 위젯을 사용할 수 있다.Slider를 사용하면 터치나 드래그를 통해 연속적인 값을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Slider 기본 사용법Slider 위젯을 사용하려면 StatefulWidget에서 선언해주어야 한다. 왜냐하면 슬라이드를 하면 특정 범위 내의 값들이 매순간 바뀌기 때문이다.Slider 위젯을 사용할 때, min, max, value 속성은 필수로 지정해야 한다.코드 설명: _currentValue 변수를 선언하고 초기값을 0으로 설정한다.이 변수는 슬라이더의 현재 값을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value 속성은 슬라이더의 현재 값을 지정한다._currentValue 변수의 값..

Flutter는 모바일 앱 개발을 위한 구글의 오픈소스 UI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이다. Flutter의 핵심 특징 중 하나는 선언적 UI(Declarative UI) 패러다임을 채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UI를 구성할 때, 명령적(Imperative) 방식이 아닌 선언적 방식을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언적 UI에서는 UI의 현재 상태를 선언하고, Flutter 프레임워크가 이를 기반으로 UI를 렌더링한다.이는 전통적인 명령형 UI 방식과는 다르다.명령형 UI에서는 UI를 단계별로 구성하고, 각 단계에서 UI의 변경사항을 명시적으로 지시한다. Flutter에서 위젯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보통 변수명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생성자를 호출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한다.이는 Flutter의 선언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