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lutter는 빠르게 발전하는 크로스 플랫폼 모바일 앱 개발 프레임워크이다.
이런 발전 속도를 따라가기 위해서는 Flutter의 버전 관리 시스템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Semantic Versioning이란?
Semantic Versioning(SemVer)은 버전 번호를 Major.Minor.Patch 형식으로 구성하는 버전 관리 규칙이다.
major.minor.patch
예를 들어 2.5.0과 같은 형태로 버전이 표기된다.
각 숫자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Major: API의 호환성이 깨질 정도로 큰 변화가 있을 때 증가
- Minor: 하위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기능이 추가될 때 증가
- Patch: 하위 호환성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버그가 수정될 때 증가
이러한 명확한 규칙 덕분에 사용자는 버전 번호만 보고도 해당 버전의 변경 사항 정도를 가늠할 수 있다.
캐럿(^) 기호를 사용한 버전 관리
Flutter 프로젝트의 pubspec.yaml 파일에서 의존성 패키지의 버전을 지정할 때, 캐럿(^) 기호를 사용하면 유용하다.
캐럿은 지정한 버전과 호환되는 가장 최신 버전을 사용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2.5.0으로 지정하면, 2.5.0 이상이면서 3.0.0 미만인 최신 버전을 사용한다.
이렇게 하면 Minor 버전과 Patch 버전의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받을 수 있어 편리하다.
단, Major 버전에서는 호환성이 깨질 수 있기 때문에 자동 업데이트되지 않는다.
Major 버전 업그레이드는 신중하게 수행해야 한다.
왜냐하면 Major 버전 업그레이드를 하면, 변경된 패키지에 따라 Flutter 프로젝트의 코드 변경이 자주 일어나기 때문이다.
버전 호환성과 마이그레이션
Flutter는 마이너 버전 사이에서는 최대한 하위 호환성을 유지하려 노력한다.
하지만 메이저 버전이 올라갈 때는 breaking change가 발생할 수 있다.
Flutter 공식 문서에서는 버전 마이그레이션 가이드를 제공하므로, 버전 업그레이드 시에는 반드시 관련 가이드를 살펴보는 것이 좋다.
특히 메이저 버전 변경 시에는 마이그레이션에 시간이 좀 걸릴 수 있다.
플러그인이나 패키지 역시 Flutter 버전과 상응하는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
pub.dev에서 각 패키지의 지원 Flutter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Flutter 초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troller (1) | 2024.09.01 |
---|---|
StatelessWidget (0) | 2024.09.01 |
MainAxisAlignment, CrossAxisAlignmnet (0) | 2024.08.27 |
플러터 위젯 (0) | 2024.08.27 |
플러터 (1) | 2024.08.27 |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